◎ 오행(五行)
☞ 상생(相生) 서로 도와주고 보탬이 되는 관계 |
☞ 상극(相剋): 서로 상충되고, 억제하는 관계 |
⊙ 목(木) → 생(生) → 화(火) |
⊙ 목(木) → 극(剋) → 토(土) |
⊙ 화(火) → 생(生) → 토(土) |
⊙ 토(土) → 극(剋) → 수(水) |
⊙ 토(土) → 생(生) → 금(金) |
⊙ 수(水) → 극(剋) → 화(火) |
⊙ 금(金) → 생(生) → 수(水) |
⊙ 화(火) → 극(剋) → 금(金) |
⊙ 수(水) → 생(生) → 목(木) |
⊙ 금(金) → 극(剋) → 목(木) |
1) 음오행(音五行)
궁상각치우의
발음구조에서 오행을 구분하여 그 상생상극관계 및 사주와의 조화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오행의 기본은 소리(音)오행으로 이루어 지며, 과거에는 자원오행으로 오행간의 상생을 파악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가장 중요한 오행의 흐름은 공기중에 전달되는 음파의 기운에 의하여 기의 흐름이 생기고 전달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주로 소리오행을 중요시하며, 원칙적으로 소리오행이 상생하며, 사주의 기운을 보완하도록 지어야 한다.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구분 |
아음(牙音) |
설음(舌音) |
후음(喉音) |
치음(齒音) |
순음(脣音) |
위치 |
어금니소리 |
혀소리 |
목구멍소리 |
잇소리 |
입술소리 |
자음 |
ㄱ/ㅋ |
ㄴ/ㄷ/ㅌ/ㄹ |
ㅇ/ㅎ |
ㅅ/ㅈ/ㅊ |
ㅁ/ㅂ/ㅍ |
2) 자원오행(字源五行)
이름자로 구성된 글자의 자원의 오행을 파악하여 그 상생상극관계를 파악하고, 사주와의 조화여부를 비교, 보완한다.
자원오행은 글자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속성을 오행으로 분류한 것으로, 사주의 부족한 오행의 기운을 보완하는데
이용한다.
오행의 기본은 소리(音)오행으로 이루어 지며, 자원오행으로서는 사주에 부족한 기운을 보완하는데 역점을 두고
짓는다. 이러한 오행의 흐름이 길하게 지어진 이름은
그 길한 기운이 흐름을 타게 된다. 특히 음오행은 공기중에 전달되는 음파의 기운에 의하여 기의 흐름이 생기고 전달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주로 소리오행을 중요시하며,
원칙적으로 소리오행이 상생하며, 자원오행에 있어서는
사주의 기운을 보완하는 한자를 사용하여 짓는 것이다.
☞ 자원오행의 역할은 사주의 오행을 보완하는 작용을 한다.
자원은 원칙적으로 그 글자의 부수에 따라 오행을 파악한다. 예컨대, 木의 오행은 木, 李, 林, 桂, 松, 火의 오행은 火, 炫, 榮, 炯, 煥, 土의 오행은 土, 圭, 奎, 均, 金의 오행은 金, 銀, 錫, 鐘, 鉉 水의 오행은 水, 永, 洙, 泳, 河, 등을 그 자원오행으로 본다.
그 외에는 글자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여 정하게 됩니다. 예컨데, 田은 그 본질적 속성이 土요, 玉은 金이며, 角은 木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자의 본질적 속성을 파악하여 사주에 부족한 오행을 보완하여 조화 및 상생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원을 파악하는데 있어서(특히 글자의 본직적 의미를 파악하는 경우) 작명가 마다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어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는 소리오행을 통해서 그 상생을 도모하되 한자의 속성을 파악하여 자원오행상 사주의 기운을 보완하는 자를 사용하여 짓는 것이 좋다.
3) 수리 오행(數理五行)
글자의 획수에 의하여 오행을 정하는 방법으로, 그 획수의
수리에 따라 木火土金水의 오행의 흐름이 있다. 수리오행을 중시하는 분이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장된 이론이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해석론이
존재한다는 것을 참고로만 생각하면 된다.
수리오행은 획수오행이라고도 하는데, 글자의 획수에 따라 오행을 분류하여 각각의
오행간의 상생상극관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획수의 끝자리수, 즉 획수가 10 이내이면 아래와 같고 10이 넘는 경우 일자리수로 파악한다.
수리 |
1, 2 |
3, 4 |
5, 6 |
7, 8 |
9, 0 |
오행 |
목 |
화 |
토 |
금 |
수 |
'작명에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짓는비용 - 좋은 작명소 고르는 법 (0) | 2013.05.01 |
---|---|
작명료 (3만9천원) - 이름잘짓는곳 추천 대승작명연구소 (0) | 2013.02.06 |
작명의 기초이론(음양오행의 원리편) (0) | 2005.04.07 |
피해야할 이름 (0) | 2005.04.07 |
이름이란? (0) | 2005.04.07 |